|
|
|
 |
국내 디지탈 앨범 < Home |
|
|
|
 |
전성희 |
 |
전성희의 금나부길(金羅敷道) |
 |
국악 |
 |
전성희 |
 |
㈜디지탈레코드 |
 |
2025.01.21 |
|
|
|
 |
01. 금고대미 가락 | 02. 싸리비 가락 | 03. 금나부 가락 |
|
|
|
|
|
 |
전성희
-전성희의 금나부길(金羅敷道)-
음반제목: 전성희의 금나부길(金羅敷道)
전성희의 금나부길
첫번째 곡. 금고대미 가락
두번째 곡. 싸리비 가락
세번째 곡. 금나부 가락
<연주자 소개>
타악 연주자 전성희는 전통 장단을 기반으로 전통 음악에서부터 현대의 창작 음악까지 다양한 활동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전수자이고, 성남시립국악단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음반에서는 쇠를 통해서 그의 음악 세계를 펼쳐본다.
<앨범 소개>
사물놀이는 사물(쇠,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농악에서 취한 가락을 발전시켜 1978년 탄생하였다. 연주 형태로는 경기·강원·충청 일대의 농악 가락을 집대성한 웃다리 농악, 진주·삼천포의 농악 가락을 중심으로 경상도 일대의 가락을 집대성한 영남 농악, 전라도의 서쪽 해안 지역인 우도의 농악 가락을 집대성한 우도 농악이 있고, 위의 3대 농악 가락을 모아서 하나의 악곡으로 편성한 삼도 농악이 있다.
금고대미 가락은 삼도 농악 가락을 기반으로 사물놀이를 연주하였다. 싸리비 가락은 웃다리 농악을 기반으로 전반부는 농악 가락 위주로 곡을 전개하였고, 후반부는 칠채, 육채, 마당삼채, 휘모리로 이어지는 사물놀이 형식으로 연주하였으며, 금나부 가락은 웃다리 농악의 쇠가락을 기반으로 쇠 독주 연주를 하였다.
Credit
1. 금고대미 가락
전성희 Jeon Sunghee |쇠 Soe
조만희 Jo Manhee |징 Jing, 부쇠 Busoe
윤여주 Yoon Yeojoo |장구 Janggu
윤현진 Yun Hyeonjin |북 Buk
2. 싸리비 가락
전성희 Jeon Sunghee |쇠 Soe
조만희 Jo Manhee |징 Jing, 부쇠 Busoe
윤여주 Yoon Yeojoo |장구 Janggu
윤현진 Yun Hyeonjin |북 Buk
천성대 Chun Sungdae |태평소 Taepyeongso
3. 금나부 가락
전성희 Jeon Sunghee |쇠 Soe
Album Credit
Produced by 전성희 Jeon Sunghee
전성희 Jeon Sunghee |쇠 Soe
조만희 Jo Manhee |징 Jing, 부쇠 Busoe
윤여주 Yoon Yeojoo |장구 Janggu
윤현진 Yun Hyeonjin |북 Buk
천성대 Chun Sungdae |태평소 Taepyeongso
Recorded, Mixed & Mastered by YAGI at YAGI studio
Design by LIZE graphic
|
|
 |
|
|
 |
|
|
|
|
|